본문 바로가기
쌍용강북교육센터 수업/JAVA

[DAY2] 21.06.10(목) 데이터형, 변수와 상수, 참조

by 개발새싹 2021. 6. 10.

1. 데이터 저장/가공/출력 방법

1) 데이터 저장 방법

  (1) 한 개의 데이터 저장

    - 변수

    - 상수

   (2) 같은 형태의 데이터를 여러 개 모아서 저장

    - 배열

   (3)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여러 개 모아서 저장

    - 클래스

   (4) 영구적으로 저장

    - 파일에 저장

    - RBDMS(오라클)에 저장

      // 웹에서는 대부분 오라클에 저장

 

 2) 데이터 가공 방법

    (1)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 가공(ex. 사용자가 '가면'이라는 영화를 검색하는 경우)

     - 연산자

     - 제어문

 

 3) 가공한 데이터 출력 방법

    (1) 윈도우

    (2) 브라우저

    (3) 모바일


* [참고] 메소드

  기능별로 나누어 출력하기 위해 사용(재사용 가능)

  1) 평문

  2) 조건문

  3) 반복문

 

 

 

2. 변수와 상수 (자바의 정석 p.30)

1) 변수: 한 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(값 변경 가능)

    데이터형 변수명 = 값

2) 상수: 한 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(값 변경 불가능)

    final 데이터형 변수명 = 값

상수는 처음 초기화한 값을 변경하면 오류 남

3) 변수 설정 시 주의 사항 (자바의 정석 p.25)

   (1) 문법 사항

     - 알파벳 or 한글로 시작 (단, 알파벳은 대소문자 구분)

     - 숫자 사용 가능 (단, 가장 앞에는 사용 불가능)

     - 특수문자 사용 가능 ( _ , $)

        // 두 개의 단어를 합성하는 경우 언더바 사용, $는 거의 사용x

        ex) file_name, file_size 등등

     - 키워드(자바에서 사용하는 단어)는 사용 불가능

        ex) int int = 10; (X), int public = 10;(X), int int1 = 10; (O)

 

   (2) 약속 사항

      - 변수, 메소드는 소문자로 시작

      - 클래스는 첫자를 대문자  

      - 상수는 전체 대문자

         

 

 

3. 데이터형의 종류/크기/범위/변수 설정(자바의 정석 p.29)

     데이터형(메모리 크기 결정) 변수명 = 값

기본형 데이터 타입의 종류와 크기

2-1. 기본형

1) 논리형

  (1) boolean (1byte)

    - true(1), flase(0)로 저장

    - 형변환 제외(독립적으로 사용)

    ex) 로그인, 아이디 중복 체크, 비밀번호 일치 체크 등에서 사용

 

2) 문자형

  (2) char (2byte)

     - 문자 한 글자 저장(''로 값 표현)

     - int와 호환되어 문자마다 고유번호로 출력됨      

3) 정수형

  (3) byte (1byte)

  (4) short (2byte)

  (5) int (4byte)

    - 정수형의 디폴트 데이터 타입

    - 약 21억 자까지 표현 가능(그 이상 넘어가면 long으로 표현)

  (6) long (8byte)

    - 반드시 값 뒤에 접미사 L 붙여야 함

       ex) long l = 133215679846L

 

4) 실수형

  (7) float (4byte)

    - 소수점 이하 6자리까지 사용 가능

    - 반드시 값 뒤에 접미사 f 붙여야 함

       ex) float f = 13.5f

  (8) double (8byte)

    - 소수점 이하 15자리까지 사용 가능한 실수형의 디폴트 데이터 타입

    - 값 뒤에 접미사 d 생략 가능

       ex) double d =13.5

    - 보통 평상시에 사용하는 실수는 웬만해서 더블형으로 표현함

 

* [참고]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데이터형

  - 네트워크, 파일: byte(파일 업로드, 다운로드)

  - 웹, 코틀린: int, double, boolean, String

 

 

2-2. 참조형(생략)

 

 

2-3. 데이터형의 크기(자바의 정석 p.34)

- 크기 비교 기준: 수를 표현할 수 있는 자리수(byte가 아님)

  * 표현 가능한 수

    long(1), float(1.000000), double(1.000000000000000)

====================   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byte < char, short < int < long < float(소수점아래 6자리) < double(소수점아래 15자리)

====================   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                 정수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실수

 

2-4. 특수문자 (자바의 정석 p.57)

특수문자 리터럴
tab \t
backspace \b
new line \n
역슬래쉬 \\
작은 따옴표 \'
큰 따옴표 \"
유니코드(16진수)문자 \u유니코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