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자바 제어문 (자바의정석 p.136~138)
(1) 조건문
- 조건: 연산 결과가 boolean(true, flase)인 것만 올 수 있음
(이 때, 조건문 연산자는 부정연산자(!), 비교연산자(<, >, <=, >=, ==, !=, 논리연산자(&&, ||)만 사용 가능)
- 자바에서 사용하는 모든 제어문은 바로 밑에 있는 문장만 제어
따라서 여러 개의 실행문장을 동시에 제어하고자 할 경우 반드시 {} 안에 넣어야 함
ex) if(조건)
실행문장1
실행문장2 //실행문장 2번은 if와 관련 없는 문장, 만약 실행문장 1, 2를 모두 수행시키고 싶으면 {}로 묶어야 함
1) 단일 조건문 ★★★★★ (자바의 정석 p.136)
- 단일 조건문은 true면 어떤 것을 수행할 것인지 정의하는 조건문
- 조건마다 독립적으로 실행하므로 조건에 맞는 여러 개 수행 가능
- 조건 형식
* 한 개 문장 제어
if(조건문) // 조건문 연산자는 "부정연산자(!), 비교연산자, 논리연산자"만 가능
수행문장 // 조건문이 true일 경우에만 수행하는 문장, if 소속문장은 1개만 가능
else(조건문)
수행문장
2) 선택 조건문 ★★★★★ (자바의 정석 p.140)
- 선택 조건문은 true일 경우와 false일 경우를 나누어 처리
- 조건이 true일 때, false일 때 처리하는 문장이 다른 경우
ex) 오류 처리(입력값이 정상인 경우, 잘못된 경우), 로그인, 아이디 중복체크, 우편번호 검색
- 조건 형식
if(조건문) // ex) 아이디가 중복이 안 된 경우
{
조건이 true일 때 처리하는 문장 // ex) 아이디가 중복이 안 된 경우 아이디 생성
}
else // ex) 아이디가 중복된 경우
{
조건이 false일 때 처리하는 문장 // ex) 아이디가 중복된 경우 "중복된 아이디입니다" 출력
}
[예제1] 정수 입력받아 짝수인지 홀수인지 구분하여 문장 출력하기
[예제2] 두 정수를 입력받아 사칙연산 수행하고, 0으로 나눌 때&입력값이 사칙연산자가 아닐 때 오류 처리하기
[예제3] 난수 입력받아 대문자/소문자 구분하기
3) 다중 조건문 (자바의 정석 p.141)
- 제시된 조건문 중 해당되는 한 개의 조건문만 수행 - 조건마다 독립적으로 실행하므로 조건에 맞는 여러 개 수행 가능
ex) 요일 계산, 게임 키보드, 성적 처리 시 학점 간 기준 정하고 그 중 입력된 성적이 몇 학점인지 출력할 때
- 조건 형식
if(조건문)
{
실행문장 // if 조건이 ture일 경우 수행 후 종료
}
else if(조건문) // if 조건이 false일 때 수행
{
실행문장 // else if 조건이 true일 경우 수행 후 종료
}
else if(조건문) // if 조건, 첫 번째 else if 조건이 false일 때 수행
{
실행문장 // else if 조건이 true일 경우 수행 후 종료
}
...
else // 앞의 모든 조건에 해당하지 않을 때 수행(else 문장은 생략 가능)
{
조건이 없는 경우 수행하는 문장
}
4) 중첩 조건문
- 조건문 안에 조건문이 들어가는 문장
ex1)
if(computer=="가위") // 컴퓨터가 가위 바위 보 중 가위를 냈을 때
{
if(player=="가위") // 컴퓨터가 가위를 냈을 때 사용자가 낼 수 있는 경우의 수
else if(player=="바위")
else if(player=="보")
}
ex2) 중첩 조건문은 &&로 연결하여 한 조건문으로 표현해도 됨
if(computer=="가위" && player=="가위") // 컴퓨터와 사용자가 가위를 냈을 때
{
}
if(computer=="가위" && player=="바위") // 컴퓨터는 가위, 사용자는 바위를 냈을 때
{
}
if(player=="가위"&& player=="보")// 컴퓨터는 가위, 사용자는 보를 냈을 때
{
}
'쌍용강북교육센터 수업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ay6] 21.06.15(화) 제어문(2) 선택문(switch~case) (0) | 2021.06.15 |
---|---|
[Day4] 21.06.14(월) 출력형식(print, println, printf), 입력형식(Scanner) (0) | 2021.06.14 |
[DAY3] 21.06.11(금) 연산자 (0) | 2021.06.11 |
[DAY2] 21.06.10(목) 데이터형, 변수와 상수, 참조 (0) | 2021.06.10 |
[DAY1] 21.06.09(수) 커리큘럼, 프로그램 설치, 클래스명 설정, 데이터 저장 형식, 주의점 (0) | 2021.06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