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기초편] CH2-1~9 변수, 상수, 리터럴, 문자열의 결합과 교환
1. 변수
1) 변수란?
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
하나의 메모리에는 하나의 값만 저장 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값의 저장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선언해야 함
2) 변수의 선언
변수타입 변수이름 ;
// 변수타입이 같은 경우 여러 변수를 콤마로 한 줄에 이어서 선언해도 됨
3) 변수의 종류(6장 객체지향 강의에서 다룸)
- 클래스 변수
- 인스턴스 변수
- 지역 변수
* 지역 변수는 자동 초기화되지 않기 때문네 값을 읽기 전 꼭 초기화 한 뒤 사용해야 함
2. 상수&리터럴
1) 상수란?
- 한 번만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변수, 변수 앞에 fianl 붙여 선언
- 값을 여러 번 변경할 수 있는 변수와 달리, 한번 값을 초기화
한 상수는 이후로 값을 바꾸면 에러가 뜸(초록 하이라이트)
2) 리터럴이란?
-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(주황 하이라이트)
3) 리터럴의 접두사와 접미사
(1) 논리형: 접두사, 접미사 없음
(2) 정수형
- 2진수 리터럴 접두사: 0b
- 8진수 리터럴 접두사: 0
- 16진수 리터럴 접두사: 0x
- long 타입 접미사: L
//소문자는 1과 혼동되므로 항상 대문자 사용하도록 지향
(3) 실수형
- float 타입 접미사: f
- double 타입 접미사: d
// d는 생략 가능하지만, f는 생략하면 리터럴이 d(실수)가 되기 때문에 반드시 포함 해줘야 함
일반적으로 변수와 리터럴의 타입이 일치해야 하지만
변수와 리터럴의 타입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변수의 범위보다 리터럴의 범위가 크지 않다면 사용함
3. 문자열, 문자열의 결합과 교환
1) 문자: char
- 하나의 문자는 ''(작은따옴표)에 단 한개만 넣을 수 잇음
2) 문자열: String
- 문자열은 ""(큰따옴표)로 표현하며, 그 안에 문자가
하나이거나 비어도 됨(단, 작은 따옴표는 빈문자면 안됨)
3) 문자열의 결합
- 문자열의 결합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됨
Ex1) ""+7+7
->""+"7"+"7"
=77
Ex2) 7+7+""
-> 14+""
-> "14"+""
=14
4) 두 변수의 값 교환하기
Tmp라는 새로운 빈컵을 만들어서 교환
Ex) int x = 2, y = 4;
int = x;
x = y;
y = int;
[참고] 데이터 타입의 크기&값의 범위
1. 정수형 데이터 타입